[작가를 만나다] 구상모, 가짜와 진짜, 가상과 현실, 허구와 진상의 사이 그리고 정체성…

기사입력 2020.03.25 17:56 조회수 5,594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구작가.jpg

구상모는 눈으로 보여지는 피사체 보다 그 뒤에 숨어있는 세상을 담으려고 끊임없이 사색하고 그의 이름처럼 구상(構想)하는 사진가이다. 지난 15년 간을 정체성이라는 화두로 맥락이 있는 다섯 번째 개인전을 지속해 오고 있다. 작년 말에는 6년 만에 그 자신도 피사체가 되어 자신이 담고 싶었던 세상 속으로 들어가 ‘산으로 간 사람들’전을 열기도 했다. 일관된 주제, 본질과 정체성을 피사체를 바꾸어가며 탐구하는 구작가의 세계로 들어가 본다.


2005년 개인전 ‘헬로우 에브리바디’를 시작으로 2006년 ‘헬로우 랜드스케이프’, 2012년 ‘헬로우 후르츠’, 2013년 ‘헬로우 돈텔마마’ 그리고 2019년 ‘산으로 간 사람들’까지 15년 간 다섯 번의 개인전을 통해 삶의 정체성에 대한 화두를 풀어내려 했다. 하지만 구작가가 표현하고자 했던 정체성을 관람객들은 아쉽게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 같아 스스로 공감의 폭을 더 높여야지 하는 반성을 했다고 한다. 개중에는 작가의 표현 이상을 받아들이고 자신도 보지 못했던 더 크고 깊은 평가가 나름의 소득이었단다.

KakaoTalk_20200324_164405722.jpg

2005년 첫 번째 개인전 ‘헬로우 에브리바디’는 ‘이미테이션’, ‘짝퉁’이란 주제로 열렸다.
밤무대 가수 주용필, 너훈아, 임희자, 패튀김, 하춘아 등 사진 속에서 그들은 분장하지 않은 생활인의 모습으로 보여진다.
 
유명 스타들과 비슷한 얼굴로 살아가는 이미테이션 연예인들과 스타의 이름표를 달고 살아가는 나이트클럽(돈텔마마) 웨이터를 피사체로 진짜와 가짜, 진품과 짝퉁, 오리지널과 카피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스타들은 카메라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본래의 인간적인 모습들은 화장을 하고 포장된 진심의 정체성이 없어 보입니다. 그래서 별다른 의미를 갖고 있지 않지요” “무거운 작품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스타의 이름으로, 스타와 닮았지만 스타와는 별개의 포장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을 사진에 담았지요.” 묵직한 말이다. 숨겨진 진짜 스타의 포장된 정체성과 짝퉁 스타(이름만 스타)의 날 삶의 정체성?

“생활현장에서 나온 그 분들은 스타들과는 정체성이 달라 보였다는 겁니다. 그냥 일상적인 사람들이지요. 스타와는 전혀 다른 모습입니다. 사실 주제 때문에 이번 사진전이 대중들에게 쇼같은 느낌이 들 수도 있기 때문에 더더욱 내 안의 그 무엇을 솔직하게 표현하기 위해 포장하지 않으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보이는 그대로 봐주세요. 그냥 자기 삶을 살지 않는 것과 같은 사람들이기 때문에 사진으로 찍고 싶었을 뿐입니다.”

사실 작가가 수년 간을, 아니 수십 년 간을 고뇌하며 창작해 낸 작품을 오롯이 이해하는 관람객은 많지 않다. 소수의 분들이라도 이해하고 공감을 하고 작가의 내면까지 보았다면 성공이 아닐까? 타인의 삶까지 파악하고 개개인의 정체성을 이해시키는 어쩜 욕심이고 미완으로 남겨야 한다. 작가도 정답이 없다고 수긍한다.KakaoTalk_20200324_164406350.jpg
첫 번째 개인전이 사람(닮은꼴 연예인)의 초상을 피사체로 했다면 일 년 만에 열린 2006년 ‘헬로우 랜드스케이프’, 두 번째 작업은 그 대상을 드라마 및 영화의 셋트장으로 옮겨 갔다. 사람보다는 생명체가 없는 더 날것(?)일 것 같았다.  그래도 이것도 역시 진짜가 아닌 가상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전 전시회의 맥은 흐른다. 셋트장은 포커스 인이 되어 영상에서 보여져 실상 같은 가상이지만 작가는 와이드, 포커스 아웃적으로 가상의 셋트장과 더 와이드한 주변 풍광을 한 화면에 담아 주었다. 때로는 실상과 어울리는 가상도 있지만 대부분이 실상과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 인공물을 꾸며놓고 존재하는 것처럼 셋트장은 더 실재처럼 혼란된 인식을 거짓으로 준다. 원형(본형)이 없는 가상의 이미지가 현실보다도 더 현실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가상을 실제에서 따라 하는 아이러니를 인간들은 저지른다. 가상의 셋트장이 촬영이 끝나고 나면 허물어져 존재하지 않지만 실제 현실이었다고 믿는다.

구작가는 가상과 실재가 한 화면 속에 존재하고 없어질 세트가 주(主)고 실제 영원히 존재하는 배경 자연은 부(部)가 되는 부조화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싶었을게다

헬로 후르츠.jpg

세 번째 개인전은 6년 만인 2012년 ‘헬로우 후르츠’라는 타이틀로 열렸다. 오랜 생각 끝에 이번에는 피사체를 과일로 바꾸어 ‘유사(類似)’라는 주제로 돌아왔다.


“가짜가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걸 아시나요?”
 
‘헬로우 후르츠’전을 준비하면서 수많은 색깔의 인간보다는 쉬운 과일이라는 피사체를 정해 관람객들에게 물었다. 분명 가짜인데 관람객은 진짜와 구별하지 못하고 어느 것은 진짜가 가짜같고 진짜가 가짜같다고 하는 반응을 보면서 진짜의 정체성은 무얼까?

마치 헬로우 랜드스케이프의 가상의 셋트장이 현실을 지배했듯 가짜가 더 진짜같다. 진짜의 정체성은? 진짜같은 가짜의 유사(類似)의 정체성은?…

KakaoTalk_20200324_164405662.jpg KakaoTalk_20200324_164405739.jpg

최근에 전통미디어들을 밀어내고 일인 미디어가 우리도 미디어라고 외치며 전통미디어들은 도저히 할 수 없는 페이크뉴스들을 생산해 내면서 페이크를 리얼보다 더 리얼화로 신뢰하는 요지경 세상을 2012년에 미리 예견하고 있었다고나 할까? 미디어의 정체성을 파괴하는, 리얼보다 페이크를 더 믿는 현실에서 가짜가 더 진짜 같은 세상일들이 벌어진다, 거짓말처럼.

KakaoTalk_20200324_164406371.jpg

네 번째 개인전 ‘헬로우 돈텔마마’는 돈텔마마라는 나이트클럽 웨이터들을 사진 속에 담았다.


박지성, 나훈아, 조용필, 김연아 등 유명인의 이름으로 살아가는 가짜들이다. 열심히 사는 삶을 위해 자기 이름이 아닌 가짜 이름으로 살아가지만 그들의 삶은 처절한 진실이다. 영업의 대상인 손님들에게 쉽고 강하게 기억을 남기기 위해 자기가 아닌 유명인의 이름을 사용한다. 상업화를 위한 브랜드(이름) 시대를 나름대로 겪어가는 지혜인 것이다.


이렇게 구작가는 10여년 간을 끊임없이 자신과 관람객들에게 물어왔다. 그래서 안녕하시냐고?(hello). 이름만 같은 짝퉁, 잠시 만들어졌다 사라지는 허상 그리고 이번의 유사성을 가진 진짜 같은 가짜(모조품)들의 피사체를 사진이라는 매개를 통해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오랜 동안 끊임없이.

구상모포스터.jpg

그리고 6년 만인 2019년 가을에 이번에는 있는 그대로의 리얼 피사체로 다시 전시회를 열었다. ‘산으로 간 사람들’. 그간 세 번의 피사체들, 스타의 이름을 쓴 짝퉁 인간, 부조화 자연 속 가상 셋트장, 진짜보다 더 진짜 모조 과일 등의 총 결정판 진짜 사람, 그것도 삶이 농익은 은퇴자(또는 은퇴를 목전에 둔)와 리얼 자연 산을 피사체로 삼 년간을 작가 자신도 피사체 속으로 들어가 작업을 한 결과물이다.

이번에는 짝퉁, 가상, 모조가 아닌 리얼을 담고 싶었을 것이다. 그래서 “개인에 있어 본인이 어떻게 정체성을 만들어 가느냐? 조직에서 은퇴하는, 나이에 밀려 나가고 세월의 변화를 통해 산으로 가는 개인의 정체성으로 단순히 묻고 싶었다. 개인의 정체성, 그리고 거기서 만들어 지는 집단화된 정체성들을”

“개인의 삶이 스스로를 어떻게 만들어 가느냐?, 기존 사회에서 이들이 그간 수십 년의 세월을 어떻게 살아왔고 쓸쓸하게 밀려가는 모습에서 한 삶의 정체성과 집단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 스스로의 성찰입니다. 이런 제 의도가 잘 전달 될 지는 이번에도 의문입니다. 어려운 숙제지요. 산이라는 큰, 어려운 자연으로 오르는 은퇴한 사람들과의 좀 더 진화된, 즉 공진화(共進化)와 성숙함이랄까? 산행을 집단으로 하면서 모두가 같은 생각은 아닐 겁니다. 같이 오르고, 쉬고, 먹고, 놀면서 공동체적 삶을 통해 정체성을 공유하고픈 겁니다.”

그렇다. 전시의 주제는 산도 사람도 아니다. 자연, 인간, 생존이 같이 진화하는 진화, 공감이다.
스스로가 만들어서 태어나지 않았고 어쩔 수 없는 삶을 순환 속에서 이왕이면 의미있는 내면적 성찰을 해서 모두 행복하자는 작가의 외침인 것이다.

육년만에 열린 전시도 이런 답을 얻는 과정의 또 하나의 여정일지, 끝남인지 아직도 그도 모른다. 한 갑자(甲子)를 산 삶의 현장에서 이제는 뒤로 밀리며 적응(?)하고 타협을 배워가는 같은 또래의 피사체로서 참여하면서 자성의 시간을 가졌단다. 개인적인 바람은 이제 그 성찰의 시간을 내려 놓기를 권한다.

구작가의 속마음을 이 글을 쓰면서 조금이라도 느끼고 볼 수 있었다. 일관성과 지속성있는 정체성 주장을 하고 있는 그의 사진은 사실 친절하지도, 시대적이지도 않으며 무겁다. 자기 길만 묵묵히 걸어왔다. 외롭기도 했겠다. 그러나 과거의 시각으로(당시에 피사체에 담아 낸) 몇 십년 후의 모습을 보는 통찰하는 혜안이 분명 담겨있다. (글 단무원심)

구상모, Photographer
1985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2005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사진전공 졸업

• 이력
1986년 제일기획 사진팀 입사
1993년 스튜디오 이즈구(ISKOO) 설립 대표
1996년~2011년 커뮤니케이션포토 설립 대표
2020년 현재 프리랜서 사진가

계원조형예술대학 그래픽디자인과, 전주대학교 영상예술학부,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강릉원주대학 미술학과, 청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인천대학교 조형예술학부 출강

2005년 개인전 "헬로우 에브리바디" 문신미술관(서울)
2006년 개인전 "헬로우 랜드스케이프" 한갤러리(서울)
2007년 상하이 아트페어 참가
2012년 개인전 "헬로우 후르츠" 현 갤러리(서울)
2013년 개인전 "헬로우 돈텔마마" 일호 갤러리(서울)
2014년 단체전 "사진과 미디어 새벽4시" 서울시립미술관(서울)
2019년 개인전 “산으로 간 사람들” 라이프러리아카이브 갤러리(서울)

• 수상
1984년 조일광고 신인부 대상(오리엔트 시계)
1991년 공익광고 공모 최우수상
1995년 뉴욕광고 페스티발 은상 (뮌헨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 Poster)
1996년 뉴욕광고 페스티발 파이널리스트(제일모직Lansmere Brochure제일기획 Brochure)
1999년 뉴욕광고 페스티발 금•은상(태극전 Poster, Calendar)
2007년 유공광고인 문화체육부 장관상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코리아인사이트 & koreainsight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