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최한수의 K-생태그라피기사 세속에 물들지 않은 청렴한 인간의 상징, 백로2022/06/09 백로는 물이 풍부한 습지를 좋아한다. 이는 백로의 먹이인 미꾸라지며 우렁이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물이 풍부한 마을은 자연히 너른 곡창지대가 되었으며 부자 마을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백로는 부자마을에서만 모여 산다는 말이 나오고, 다른 마을의 처녀, 총각들은 백로가 모여 사는 마을로 시집, 장가를 가려 했다는 것이다. 물론 백로가 마을을 부유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여유가 있는 생활에서 나오는 후한 마음은 백로를 신성한 길조로 생각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또한 백로는 마을을 지키는 파수꾼으로도 여겨졌다. 마을 뒷동산의 소나무 꼭대기에 앉아있던 백로는 멀리서 외부인이 찾아오는 것을 미리 알려 주었으며 적이 침범해 올... 국적을 빼앗긴 우리의 정겨운 잡초들! 며느리밥풀꽃, 중대가리풀, 개불알풀, 애기똥풀...2022/04/23 (이른 봄 야산에서 꽃피우는 양지꽃) 우리나라에서 사는 식물은 4,577종류로 덴마크 1,500여 종, 영국 2,000여 종에 비하면 많은 식물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움직임이 많은 동물과 달리 땅에 뿌리를 내리고 정착 생활을 한다. 각 나라마다 고유한 환경 조건에 따라 식물이 살아가고 있어서 나라마다 식물자원을 고유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볼 수 없는 식물을 우리의 산야에서 즐겨 볼 수가 있다. 철마다 각양각색의 꽃을 피워 우리의 맘을 달래주며 한민족과 함께 한반도를 지키며 꿋꿋이 살아온 ‘한국의 야생화’는 독성이 강한 것이 없어 식용 혹은 약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생필품을 만드는... 장수와 행복을 상징하는 꽃, 복수초(福壽草)2022/03/19 복수초(학명 :Adonis amurensis) (이른 봄 눈 속에서 피어나는 ‘복수초’) 겨울이 끝나기도 전에 여기저기서 복수초가 피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복수초란 이름을 처음 들으면 무시무시한 복수의 전설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복수초(福壽草)는 행복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이 꽃의 한자가 뜻하듯이 인간의 행복은 부유하게 오래 사는 것인가 보다. 코스모스와 비슷하게 생긴 노란 꽃잎 때문에 ‘황금의 꽃’이란 별명을 얻게 되었으며, 장수와 행복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금속광택이 도는 20~30개의 꽃잎을 가진 꽃이 3~4월에 피며... 역경을 이기고 성공한 사람들을 상징, 민들레2022/03/09 민들레(학명:Taraxacum platycarpum) 민들레는 전국의 산과 들, 특히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생명력이 매우 강하여 추운 겨울이 지나 얼었던 땅이 풀리자마자 잎을 내고 꽃을 피운다. 또한 뿌리를 토막 내 심으면 싹을 틔우기 때문에 화분이나 화단에서 기르곤 했었다. 추운 겨울을 땅속에서 보낸 후 이른 봄 싹을 틔우며 길가에서 사람의 발길에 밟혀 수난을 당해도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어 번식한다. 꽃은 한 송이씩 피우지만 땅바닥에 펼쳐진 잎의 수만큼 교대로 나기 때문에 봄철 내내 꽃이 피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서양민들레 - 돌 틈에서 솟아나는 강한 생명력 ... 제비... 인간과의 잘못된 만남2022/02/21 지난해 음력 9월 9일 떠났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이다. 제비는 우리 주변에 흔한 새였다. 사람의 마을을 찾아와 한 지붕 가족처럼 지내던 친구는 도시에선 볼 수 없게 되었고 서울시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제비집 투어 매년 봄이면 수천 킬로미터를 날아와 처마마다 둥지를 틀어 검은 양복을 입고 손님을 가장 먼저 반겨주던 우리 친구 제비에게 어떤 일이 생겼을까? 이에 대한 해명은 수천 년 전 인간과 제비의 잘못된 만남으로부터 시작된다. 제비는 천적을 피해 인간과 공생에 도전하였다. 불필요한 살생을 하지 않는 한민족의 처마 밑에 둥지를 ... 1 2 3 4 맨끝